JS
-
document.ready() window.load() 어느게 먼저 실행될까?JS 2019. 9. 7. 13:43
결론 : $(document).ready()가 먼저 실행된다. 왜?- $(document).ready는 DOM만 그리면 되니까..- DOM이란(Ddcument Object Model) 즉, ,와 같은 것을 말함- onload는 외부리소스가 다불려진다음 실행됨. window.onload- 전체 페이지의 외부리소스가(css, js, image등) 브라우저에 모두 불려진다음 작동함 $(document.)ready- 외부리소스와 상관없이 DOM데이터만 로드가 완료되면 바로 실행됨
-
[JavaScript] CORS란?JS 2019. 3. 12. 23:34
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 란? SOP 원칙을 깨고 외부 도메인에서의 요청(접근)을 허용해주는 규약. 특정 도메인에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준다. CORS 종류1) Simple2) Preflight3) Credential3) Non-Credential Simple Request필수조건1) GET, HEAD,POST중 1가지 방식 사용해야함 2) POST일 경우 셋중 하나여야함-application/x-www-form-urlencoded-multipart/form-data-text/plain 3) 커스텀 헤더를 전송하면 안됨 Preflight RequestSimple Request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브라우저는Preflight Request방식으로 요청함 Cr..
-
크로스도메인이란?JS 2019. 3. 12. 23:27
레거시 시스템의 보안취약점 처리 항목중 하나가 바로 크로스도메인 문제와 관계가 있는 이슈가 있었다.구글링을 많이 하다보니 관련 키워드 들이 많아서 정리해본다 관련키워드 : 크로스도메인, JSONP, SOP, CORS 크로스 도메인이란?- 서로 다른 도메인 간의 호출을 말한다 보통 위에 처럼를 하려할때 HTTP의 보안정책중 하나인 SOP(Same-Origin Policy - 동일 근원 정책)에 걸려서 원하는 결과를 받아낼수 없다. 다른 도메인의 데이터를 가져올때 로 둘러쌓이면 SOP(Same Origin Policy) 의해서 불가능함. 해결방법 CORS를 활성화하거나 Iframe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.
-
[Vue.js] 네스티 라우터란?JS 2019. 1. 20. 23:57
네스티 라우터, 네임드 뷰는 여러개의 컴포넌트를 동시에 표시 할 수 있는 라우터이다. 네스티 라우터란?라우터로 페이지이동을 할때 최소 2개이상의 컴포넌트를 화면에 나타내는 기능 -구조는 상위컴포넌트 1개에 하위컴포넌트 1개를 포함하는 구조 예를 들어 localhost:8080/user //user가 상위localhost:8080/user/detail //detail은 하위localhost:8080/user/create //create도 하위 이런식으로 접근이 가능함. -기본 라우터와 네스티라우터의 차이점은 최상위 컴포넌트에도 가 있고, 최상위 컴포넌트의 하위 컴포넌트에도가 있다는 것. 예제 30행, 34행의 path=url에 따라 해당 컴포넌트를 보여지게 된다. 12345678910111213141516..
-
[JavaScript] JSON 다루기 정리JS 2018. 11. 19. 22:37
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 $(function(){ // Object -> jsonString var obj= new Object(); obj.name='민'; obj.age='28'; var objToJsonStr = JSON.stringify(obj); // Object는 한번에 json으로 못바꿈. json문자열로 한번 바꿔야됨. // JsonString -> JSON var jsonStr = '{"name": "식빵", "family": "웰시코기", "age..